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궁디팡팡. 영어 발표

어제 이번 course work 의 마지막 발표를 마쳤다.
영어로 발표할 때면 나의 입과 혀는 어찌됐든 어떠한 소리를 발화하고 있는데 나의 다른 에고는 유체이탈 정도를 아니고 나의 눈꺼풀 위에서 혹은 나의 뇌 가장 뒤쪽에서 위치해서 입을 느끼고 청중을 바라보며 "와 씨 이게 말이 되는 소리를 하느거고?, 니 진짜 영어로 말하고 있는거가?" 라고 오돌오돌떨며 문법검사와 억양측정을 한다.
아직 부족하지만 스크립트 없이 말할 수 없었던 1학기를 생각하며 많이 늘었다고 스스로 궁디팡팡 해주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my thinking about ethnic studies

  And my thought about Le-Long Khack's writing. I think Ethnic Studies are dismantling inside the category??? they were assinged, they were put to be claimed,  knowing that this category is one of the many categories that matter,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ethnic unity. Ethnic studies started with oppositional asumptions??? agendas to the mainstream whatever. Ethnic Studies is dealing with its name itself, born out of white supremacy or euro-centered and  But if race is something historically constructed, we can also deconstruct and reconstruct other identities too. 

S 언니와의 대화

엊그제 S언니 생일이길래 축하 메세지를 남겼다가 유익한 전화통화를 하게 되었다. 내가 조금 경직된 반-유럽 정서에 갇혀 있다면 언니는 그것을 약간 유연하게 보는 듯했다. 하지만 이건 나의 룸메 F 에게서 느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People of color 를 연구 대상으로 삼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인 것 같기도 하다. 일단 언니랑 통화하면서 배운 것 1. 나의 연구와 미리 비슷한 질문을 던진 사람들을 관련지어라 -내가 알고 싶은 것의 질문을 써볼 것 2. Concept 데리가 콘셉트는 철학자의 일이며 콘셉트를 통해 con-같이 생각하는 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찾아봐야 하겠지만. 왠지 맘에 든다!